2016년 6월 22일 수요일

[record] 모차르트 - 교향곡 40번, 41번 "쥬피터"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교향곡 40번, 41번 "쥬피터"

빈 필하모닉, 칼 뵘 (Karl Böhm)



도이치 그라모폰, 1984년 12월 10일 발매



모차르트 교향곡 41번 "Jupiter"를 듣다가 뜬금없이 "목성"에 대하여 궁금해졌다. ─ Jupiter는 그리스 제우스 신을 의미한다. 그만큼 웅장하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별명. 모차르트가 붙인 것은 아니다.

목성은 60개 이상의 위성을 가지고 있다. 그 중 이오, 가니메데, 에우로파, 칼리스토는 갈릴레이 위성이라불리는데, 갈릴레이가 이 4개의 위성이 목성 주변을 도는 것을 보고 천동설이 틀렸음을 확신했기 때문이다.

목성으로 간 첫 탐사선은 미국의 Pioneer 10호였다. 1972년 3월 3일 발사된 Pioneer 10호는 약 7억km를 날아 1973년 12월 3일 목성에 도착했다. 한반도가 제3공화국을 지나 유신 체제로 들어섰던 때이고 나의 부친과 모친이 이팔청춘 소년소녀였던 KBS TV소설 시절의 일이다.

가장 최근 발사된 목성 탐사선은 미국 NASA의 Juno로, 2011년 8월 5일에 발사 되었다. 나로호의 두번째 발사가 실패로 돌아가고 세번째 발사체(나로과학위성)를 준비하던 기간이다. Juno는 현재 초속 4.4km의 속력으로 목성을 향해 날아가고 있으며 약 5개월 후인 2016년 7월 4일 도착할 예정이다. 2013년 1월 30일 세번만에 발사에 성공한 나로과학위성은 2014년 4월 통신이 두절되었다.

한편 Pioneer 10호는 발사되고 약 31년 후인 지난 2003년 1월 23일 교신이 끊겼고, 2006년 3월 4일 최종 교신 시도 실패 후 말 없이, 말 걸어주는 자도 없이 목성을 지나 우주 공간을 이동하고 있다. 현재 Pioneer 10호가 향하난 곳은 황소자리의 머리 부분에 위치한 '알데바란'이라는 별인데, 이 별의 지름은 태양의 44.2배이며 둘은 약 200만년 후에 만날 예정이라고 한다.

오마이갓.

모든 사실들에서 허탈하고 아이러니함을 느낀다.
우주 앞에서는 언제나 숙연해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